본문 바로가기

4월2

[제철재료] 영양소가 풍부한 국민조개 바지락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던 바지락은 자원량이 풍부하여 연간 패류 총생산량의 약 18퍼센트를 담당해 왔습니다. 1801년 신유박해로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 선생은 자산어보에 바지락을 천합(淺蛤)이란 이름으로 소개하며 “살도 풍부하고 맛이 좋다”라고 기록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조개류 중에서 가장 많이 먹는다는 바지락은 미량원소로서 무기질 함량이 매우 높아 대사 조절작용으로 병후 원기회복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또한 바지락조개가루를 헝겊주머니에 넣고 달여서 차로 마시면 치아와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등 인체에 칼슘을 보충해 줍니다. 바지락 효능빈혈칼슘보충원기회복 등 바지락 고르는 법살아 있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으며 입이 굳게 닫혀 있어 속이 보이지 않고 , 껍.. 2025. 4. 4.
[제철재료] 간과 눈에 좋은 봄나물 냉이 봄에 먹는 인삼이라는 냉이는 쌉쌀한 맛과 특유의 향이 있는 냉이는 주로 이른 봄에 수확하여 무침, 국, 전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알칼리성 작물로 특히 비타민 A, B1, C가 풍부해 원기를 돋우고, 피로 해소와 춘곤증에 좋고 칼슘, 칼륨, 인, 철 등 무기질 성분도 다양하여 지혈과 산후출혈 등에 처방하는 약재로도 사용되며 간과 눈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냉이 효능지혈작용이뇨작용변비 개선 효능항염작용월경불순 및 자궁출혈 증상에 효능콜레스테롤 안정 효능시력개선해독작용심혈관 건강냉이 고르는 법냉이는 잎과 줄기가 작고 부드러운 어린것이 맛있습니다.냉이 특유의 향을 내는 뿌리는 너무 단단하지 않고, 잔털이 적은 것을 골라야 합니다. 냉이 손질법흐르는 물에 잘 씻어 .. 2025. 4. 4.